◇ ARK ETF
Cathie Wood(캐시우드)의 ARK Invest ETF는 2020년 엄청난 상승을 보여준 액티브 ETF이다.
주력 ETF인 ARKK는 2020년 152%라는 엄청난 수익률을 기록한 바 있다.
2021년 현재, 작년과 같은 퍼포먼스를 보여주지 못해 잠시 대중의 외면을 받고 있는것도 사실이지만,
성장주냐 가치주냐의 갈림길에 서있는 우리는
작년 한해 ARK가 보여줬던 수익률과 투자방식을 상기해 볼 필요는 있을 것이다.
캐시우드: "파괴적인 혁신은 사람들이 궁극적 인 기회가 얼마나 큰지 이해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투자 전략에 의해 올바르게 가격이 책정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괴적 혁신기업의 가치를 평가한다는 것은 우리가 기존에 알던 방식으로는 불가능에 가까울 것이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끊임없이 연구하고, 가치를 분석하고 기업의 미래를 예측하여 투자해야 한다.투자를 지속해야 한다.
금리인상, 테이퍼링 우려로 시장이 횡보하는 요즘
성장주냐, 가치주냐의 토론은 끝이 없고, 수익률을 극대화 하는 전략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하는 요즘
ARK운용사의 대표 성장ETF인 ARKK의 대표종목 4가지를 분석하여
투자의 힌트를 얻어보자
◆Draftkings
Draftkings는 사용자가 판타지 게임을 플레이하고 상금을 받을 수있는 온라인 스포츠 플랫폼이다. 미국 전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스포츠의 합법화에 수혜를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이다.
현재 주식은 60일 및 200일 이동평균선보다 아래 형성되어 있으나 매수타이밍을 잡기는 꽤 어려워 보인다.
현재 ARKK 내 비중은 1.9%로 낮은 편이다.
(주가)
(예상 실적)
Draftking: COVID-19 이후 온라인 스포츠 베팅 및 i-게이밍 관심 증가, 장기적 성장성, 실적발표, 대형 계약..
그렇다면 과연 주가는..?
드래프트킹스의 매출은 우상향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업이익은 마이너스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영업이익이 2020년 -850백만달러에서 올해 -998백만달러로 오히려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주당순이익도 올해기준 -2.82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ROE비율은 무려 올해 예상 -53.1%.
미국의 PC,모바일 스포츠 참여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마켓이 점점커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아직 이익을 내지 못하는 기업에 투자한다는 것...
고민해 봐야할 문제다.
◆줌비디오
Zoom Video는 모바일, 데스크톱 및 회의실 시스템 전반에 걸쳐 화상 및 음성 회의, 채팅을 위한 클라우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2020년에 거의 400% 급등한 후 올초대비 상승폭이 전혀 없는 수준으로, 52주 최고가 대비 42% 하락한 상태다.
6월1일 줌은 9억5,620만달러의 매출에 EPS는 1.32달러로 추정치를 상회했다. 수익은 560%, 매출은 전년대비 191% 상승한 상태이다.
주식 가격은 어떨까.
현재 6월10일 기준 주가는 337달러로, 시가총액은 99,437백만달러이다.
2021년 예상 순이익은 위 표에서 보다시피 672백만 달러로 PER을 계산해보면 150정도가 나온다.
물론 매출과 영업이익(2019년부터 EVITDA기준 13.2 → 105 → 1,012 →1,582백만달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수익모델 또한 비대면으로 전환되는 대전환기를 맞이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줄 거란 것은 확실해 보인다.
◆스퀘어
Square는 핀테크,디지털 결제의 대표적인 기업이다.
최근 비트코인 1억7천만달러 투자를 발표한 가운데 스퀘어 전체 자산비중의 무려 5%가 비트코인이다.
현재 주식은 최고점인 283.19달러에서 약 25% 하락한 214.34달러에 형성되어 있다.
2020년 코로나 저점에서부터 무려 700%나 상승한바 있으며,
연간 매출은 2017년 2.21B, 2018년 3.30B, 2019 4.71B, 2020년 9.50B으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스퀘어 최근 1년 매출/영업이익/순이익)
핀테크에 대한 전망도 밝다. 글로벌 대표 핀테크 ETF인 FINX의 2016년 상장이후
주가 흐름을 봐도
2016년9월1일부터 최근까지 무려 3.5배나 성장했다.
◆테슬라
2020년 서학개미들을 열광시킨 테슬라.
테슬라는 ARKK ETF 포트폴리오에서 약 1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ARK사는 올해 1월 중순 2025년 테슬라의 목표주가로 주당 $3,000를 제시한바 있다.
주가는 현재 고점(900.40달러) 대비 33%정도 하락한 602달러 수준에 있다.
(테슬라 일간 차트)
(매출액/영업이익 전망)_단위 백만달러
테슬라의 모두가 알고 있겠지만, 커져만가는 전기차 시장 내 마켓점유율이 높아지면서
상당한 성장을 이룰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재무제표)_단위 백만달러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CAPEX 모든게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이 성장하고 있다는것에는 반론의 여지가 없다.
그렇다면 중요한건 현재 주식 가격이 어떤지 봐야한다.
현재 주식가격이 고평가인지, 고평가면 얼마나 고평가인지 보자.
(적정주가를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먼저 위 표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테슬라의 현재 시가총액은 576,052백만달러(우리돈으로 약 640조에 이른다)이고,
2021년도 예상 순이익은 3,415백만달러이다.(1분기 순이익은 533백만달러에 하반기로 갈수록 매출이 오르니 적정한 수준으로 보인다)
따라서 예상 PER은 170 정도가 된다. 2021년 기준으로만 보면 고평가다.
(완성차 업체랑 비교한다는 거 자체가 모순이지만, 자동차 산업 자체의 PER은 8~9이고
현재기준 포드가 15, 제네럴모터스가 10 정도인것을 감안하고 볼때 상당히 높다)
성장주는 미래의 가치를 당겨오기 때문에 2022년 2023년 ~ 향후 성장성도 봐야하는데
시장의 컨세서스로 봐도 향후 1~2년 내에는 PER기준 100이하를 달성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정말 압도적인 자동차, 모빌리티의 파괴적인 성장, 개척자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지금의 조정받은 주가 조차도 설명하기 어려울 것이다.
2020년 한해 TQQQ와 거의 비슷한 수익률을 기록하며
엄청난 관심을 받았던 ARK사의 대표적인 성장향 ETF 그중에서도 대표격인 ARKK의 대표기업을 알아봤다.
미국주식 투자는 국내주식보다 어렵고, 정보도 부족하다. 그래서 어렵다.
단순히 미국이라는 안정적인 시장이라서 투자하기 보다는
산업을 이해하고 미래를 볼 수 있는 눈을 만들기 위해 끊이 없이 공부하고 또 공부해서 수익률을 높여 나갑시다.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11일 공매도 종목: LG화학 금호석유 박셀바이오 데브시스터즈 에스에프에이 테스나 아모레퍼시픽 효성이엔티 심텍 셀리버리 씨젠 바이넥 (0) | 2021.06.11 |
---|---|
(6월10일) 시황 및 특징주: 카카오 신고가 시총4위, 신풍제약 23.72%상승, 정치테마주 동양 상한가, 만도 물적분할 소식에 급락 (0) | 2021.06.10 |
6월10일 공매도 종목: 만도 HMM 씨젠 오스코텍 에이치엘비 두산중공업 안선이엔티 원익IPS CMG제약 컴투스 현대바이오 아모레퍼시픽 (0) | 2021.06.10 |
6월9일 공매도 종목: SK하이닉스 LG디스플레이 두산중공업 HMM 메지온 제넥신 셀트리온제약 에이치엘비 빙그레 아프리카TV (0) | 2021.06.09 |
150%껑충 '두슬라' 공매도가 들어온다 (0) | 2021.06.08 |
6월8일 공매도 종목: 두산중공업 HMM 헬릭스미스 셀트리온헬스케어 안트로젠 동진쎄미켐 한화솔루션 이엔에프테크놀로지 (0) | 2021.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