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정보

마스크 벗는다? 기대감에 항공 여행 소비주 강세(5월27일)

철이영희 2021. 5. 27. 17:19
728x90
반응형

 

(코스피) 약보합 마감,  (코스닥) 3일 연속 상승

 

 

 5월27일 코스피 지수 (일간차트)

 

 

 국내시장 마감

구 분 마 감 상승/하락 P (%)
K O S P I 3,165.51 2.92p
(0.09%)
KOSDOQ 974.08 8.02p
(0.83%)

 

 

 국내증시 동향

 

(코스피 한줄평)

· 전일 해외증시 혼조세로 보합권 출발 후 한은의 경제지표 상향조정 및 매파적 발언 등에 따른 금리상승 등

  영향으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중국 증시 강세등에 따른 기관 매수세 전환으로 약보합 마감

 

① 업종동향:  업종별 차별화 大(-0.2%) 中(+0.6%) 小(+0.7%)

 

② 투자자 동향: 매도(외국인) VS. 매수(기관,개인)

  ○ 외국인(억원):  금융업 -2,383 / 운수장비 -1,621 / 화학 -1,558 /  전지전자 -1,127

 

(코스닥 한줄평)

· 전일 나스닥 강세 등으로 상승 출발 후 장중 하락 전환하기도 하였으나, 외국인 매수세 전환으로 3일연속 상승

 

 업종동향:   유통 +3.4% / 건설 +2.6% /  금속 +1.3% /  의료,정밀기기 +1.0%

 

② 투자자 동향: 매도(외국인, 기관) VS. 매수(개인)

  ○ 외국인 +1,054억 / 기관 +178억 VS. 개인 -1,196억

 

 

 기타 동향

- 원화 3일만에 약세 (1,118.1원), +1.2원, +0.1%

- 국제유가 (WTI) 4일연속 상승 : 66.21$(+0.2%) → 미국 재고감소 및 수요증가 전망으로 상승

 

 

◇ 시장 브리핑

코스피 지수는 전일 대비 2.92포인트(p)(0.09%) 내린 3165.51로 마감했습니다.

외국인은 2796억원을 순매도 했고, 개인은 467억원, 기관은 2663억원을 각각 순매수했습니다.

 

건설, 기계, 철강, 의류는 강세를 보였으나,

은행, 화학, 보험, 운수장비는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8.02p(0.83%) 오른 974.08로 마감했습니다.

기관은 173억원, 외국인은 1049억원을 각각 순매수, 개인은 1185억원을 순매도 했습니다.

 

유통, 건설, 금속, 의료정밀기기는 강세를 보였으나,

종이목재, 식음료, 정보기기 등은 약세를 나타냈습니다.

 

 

 특징 섹터/업종/종목

(소비주)

코로나 백신 접종 기대감에 소비주가 강세 흐름을 보였습니다.

정부는 상반기까지 국내 인구의 25% 정도인 1300만명에 대한 1차 접종을 완료하고, 11월 집단 면역 형성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방침을 갖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LCC 관련주가 강세를 보였고, 참좋은여행, 모두투어 등 여행주, 토니모리, CSA 코스믹, HDC 등 관련 수혜주가 동반 상승했습니다

 

(건설주)

오세훈 서울시장이 전일 주거정비지수제 폐지 등을 골자로 한 '6대 재개발 규제완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2025년까지 13만가구를 건설하고 이후 재건축으로 11만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이와 같은 소식에 현대건설, 대우건설 등 일부 건설주가 상승했습니다.

 

(태양광 관련주)

메리츠증권은 OCI에 대해 올해 태양광 폴리실리콘 강세에 따른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고 밝혔습니다.

전방 태양광 설치 수요 증가, 중국산 폴리실리콘 사용 규제 우려 등으로 중국외 지역의 폴리실리콘 강세가 시현되고 있으며, OCI는 올해 실적 턴어라운드 기대감에 상승했습니다.

 

(조선주) 

조선주는 밸류에이션 부담과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수익성 부담에 하락했습니다.

KB증권은 현대미포조선 등 조선주의 주가가 올해 급등하면서 코스피 수익률을 크게 상회했고, 밸류에이션과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부담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추후 전망

최근 시장은 작년 성장주 상승랠리에 소외받았던 업종을 중심으로 빠르게 변동하고 있습니다.

당연하다는 듯 코로나 종료에 따른 수혜주 쪽으로 시장은 움직이지만,

그렇다고 다 옮겨갈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하반기 경기 기대감과 기업의 실적 상승이 현실화된다면, 현재 눌려 있는 성장주의 장세가 다시 재현될 수도 있을것입니다.

 

결국 우리의 포트폴리오는 성장30% + 반대편(금융,가치,소비)40% + 현금30%

이라는 비중으로 가야할 것입니다.

테이퍼링 우려, 상승모멘텀의 부재우려(경기회복x) 등으로 언제 찾아올지 모르는 조정장에

저점매수를 위한 기회를 포착하시기 바랍니다.

 

☆전하는말☆
금일 시장흐름을 빠르게 정리하여 내일의 투자에 도움이 되고자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작게 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며, 모두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출처는 네이버금융 및 KRX한국거래소 입니다.

 

728x90
반응형